[문제 링크]

 

11399번: ATM

첫째 줄에 사람의 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사람이 돈을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Pi가 주어진다. (1 ≤ Pi ≤ 1,000)

www.acmicpc.net


간단한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였다.

인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은 사람부터 먼저 인출하는 것이 항상 최적해를 보장하기 때문에, 입력받은 배열을 오름차순 정렬한 후 인출 시간이 짧은 사람부터 차례대로 계산해주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void QuickSort(vector<int>& data, int start, int end)
{
	if (start >= end) return;

	int pivot = start;
	int i = start + 1;
	int j = end;

	while (i <= j)
	{
		while (i <= end && data[i] <= data[pivot])
			i++;

		while (j > start && data[j] >= data[pivot])
			j--;

		if (i > j)
		{
			int temp = data[pivot];
			data[pivot] = data[j];
			data[j] = temp;
		}

		else
		{
			int temp = data[i];
			data[i] = data[j];
			data[j] = temp;
		}
	}

	QuickSort(data, start, j - 1);
	QuickSort(data, j + 1, end);
}

int Greedy(vector<int>& wait, int N)
{
	QuickSort(wait, 0, N-1);

	int time = 0, res = 0;

	for (int i = 0; i < N; i++)
	{
		time = (time + wait[i]);
		res += time;
	}

	return res;
}

int main(void)
{
	int N;
	cin >> N;
	
	vector<int> wait;
	for (int i = 0; i < N; i++)
	{
		int P;
		cin >> P;
		wait.push_back(P);
	}

	cout << Greedy(wait, N) << endl;

	return 0;
}

알고리즘 200일 프로젝트 - 110 day

'알고리즘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31번: 회의실배정  (0) 2020.07.26
백준 11047번: 동전 0  (0) 2020.07.25
백준 2631번: 줄세우기  (0) 2020.07.17
백준 9507번: Generations of Tribbles  (0) 2020.07.15
백준 10164번: 격자상의 경로  (0) 2020.07.15

[문제 링크]

 

algospot.com :: STRJOIN

문자열 합치기 문제 정보 문제 프로그래밍 언어 C 의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언어 차원에서 문자열 변수형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C 에서는 문자 배열로 문자열을 표현하되 \0 (NULL) 로 문자

www.algospot.com


간단한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였다.

항상 길이가 가장 짧은 두 문자열을 합치는 것이 최적해를 보장하기 때문에, 오름차순 정렬을 통해 길이가 가장 짧은 두 문자열을 합치도록 구현하였다.

 

삽입, 삭제 연산이 빈번할 때 유리한 list 컨테이너를 사용하였다. 두 문자열을 합칠 때마다 새로운 원소가 추가되기 때문에 오름차순 정렬을 수행해줬다.

 

또한 원소를 삽입할 때 자동으로 정렬되어 삽입되는 set 컨테이너를 사용해서 구현해보았는데, 원소 검색에 효율적인 set 컨테이너는 삽입 삭제 연산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시간초과가 날수도 있겠다 생각했지만 통과되었다.

 

// 추가: 알고리즘 문제해결 전략에서는 priority_queue 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우선순위큐는 원소를 자동으로 정렬해줄뿐더러 새 원소를 추가하는 작업을 log시간에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이다.


<list 사용>

#include <iostream>
#include <list>
using namespace std;

list<int> str;

int Greedy(int n)
{
	if (n == 1)
		return str.front();

	int result = 0;
	while (--n)
	{
		str.sort();

		int join = 0;
		for (int i = 0; i < 2; i++)
		{
			join += str.front();
			str.pop_front();
		}
		result += join;
		str.push_back(join);
	}

	return result;
}

int main(void)
{
	int tc;
	cin >> tc;
	while (tc--)
	{
		int n;
		cin >> n;

		for (int i = 0; i < n; i++)
		{
			int len;
			cin >> len;
			str.push_back(len);
		}

		cout << Greedy(n) << endl;
		str.clear();
	}

	return 0;
}

<multiset 사용>

#include <iostream>
#include <set>
using namespace std;

multiset<int> str;

int Greedy(int n)
{
	if (n == 1)
		return *str.begin();

	int result = 0;
	while (--n)
	{
		int join = 0;
		for (int i = 0; i < 2; i++)
		{
			join += *str.begin();
			str.erase(str.begin());
		}
		result += join;
		str.insert(join);
	}

	return result;
}

int main(void)
{
	int tc;
	cin >> tc;
	while (tc--)
	{
		int n;
		cin >> n;

		for (int i = 0; i < n; i++)
		{
			int len;
			cin >> len;
			str.insert(len);
		}

		cout << Greedy(n) << endl;
		str.clear();
	}

	return 0;
}

<priority_queue 사용>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priority_queue<int, vector<int>, greater<int>> str;

int Greedy(int n)
{
	int result = 0;

	if (n == 1)
	{
		result = str.top();
		str.pop();
		return result;
	}

	while (--n)
	{
		int join = 0;
		for (int i = 0; i < 2; i++)
		{
			join += str.top();
			str.pop();
		}
		result += join;
		str.push(join);
	}

	str.pop();
	return result;
}

int main(void)
{
	int tc;
	cin >> tc;
	while (tc--)
	{
		int n;
		cin >> n;

		for (int i = 0; i < n; i++)
		{
			int len;
			cin >> len;
			str.push(len);
		}

		cout << Greedy(n) << endl;
	}

	return 0;
}

알고리즘 200일 프로젝트 - 109 day

[문제 링크]

 

algospot.com :: LUNCHBOX

Microwaving Lunch Boxes 문제 정보 문제 After suffering from the deficit in summer camp, Ainu7 decided to supply lunch boxes instead of eating outside for Algospot.com winter camp. He contacted the famous packed lunch company "Doosot" to prepare N lun

www.algospot.com


먹는데 가장 오래걸리는 도시락을 먼저 데우고 먹기 시작해야 가장 빨리 점심시간을 마칠 수 있다.

따라서, 먹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 다음 오래 걸리는 도시락 순으로 데우도록 구현하였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pair<int, int>> lunchBox;

int Greedy(int N)
{
	// 먹는데 오래걸리는 순으로 정렬
	sort(lunchBox.begin(), lunchBox.end(), greater<pair<int, int>>());

	int longest = 0, time = 0;

	for (int i = 0; i < N; i++)
	{
		if (longest < lunchBox[i].first + lunchBox[i].second)
		{
			longest = lunchBox[i].first;
			time += lunchBox[i].second;
		}
		else
		{
			longest -= lunchBox[i].second;
			time += lunchBox[i].second;
		}
	}

	return time + longest;
}

int main(void)
{
	int tc;
	cin >> tc;
	while (tc--)
	{
		int N;
		cin >> N;

		int heat[10000];
		for (int i = 0; i < N; i++)
			cin >> heat[i];

		int eat[10000];
		for (int i = 0; i < N; i++)
			cin >> eat[i];

		for (int i = 0; i < N; i++)
			lunchBox.push_back(make_pair(eat[i], heat[i]));

		cout << Greedy(N) << endl;

		lunchBox.clear();
	}

	return 0;
}

알고리즘 200일 프로젝트 - 108 day

[문제 링크]

 

algospot.com :: MATCHORDER

출전 순서 정하기 문제 정보 문제 전세계 최대의 프로그래밍 대회 알고스팟 컵의 결승전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팀은 n명씩의 프로 코더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승전에서는 각 선수가

www.algospot.com


간단한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였다.

러시아팀의 한 선수를 이길 수 있는 한국팀의 선수가 여러명 있을 때 가장 레이팅이 낮은 선수를 매칭시켜야만 최대의 승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구현하였다.

 

먼저 러시아팀, 한국팀의 선수들을 레이팅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러시아팀에서 레이팅이 가장 낮은 선수를 시작으로 한국팀에서 레이팅이 가장 낮은 선수부터 비교한다.

한국팀 선수가 러시아팀 선수보다 레이팅이 같거나 클경우 두 선수를 매치 시키고 러시아팀의 다음 선수를 비교한다.

한국팀에서 가장 레이팅이 높은 선수까지 탐색했다면 더이상 비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누적한 승점을 반환한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rusia, korea;

int Greedy(int N)
{
	// 오름차순 정렬
	sort(rusia.begin(), rusia.end());
	sort(korea.begin(), korea.end());

	int lowest = 0, win = 0;

	for (int i = 0; i < N; i++)
		if (rusia[lowest] <= korea[i])
		{
			lowest++;
			win++;
		}

	return win;
}

int main(void)
{
	int tc;
	cin >> tc;
	while (tc--)
	{
		int N;
		cin >> N;
		for (int i = 0; i < N; i++)
		{
			int rate;
			cin >> rate;
			rusia.push_back(rate);
		}

		for (int i = 0; i < N; i++)
		{
			int rate;
			cin >> rate;
			korea.push_back(rate);
		}

		cout << Greedy(N) << endl;

		rusia.clear();
		korea.clear();
	}

	return 0;
}

알고리즘 200일 프로젝트 - 107 day

+ Recent posts